경쟁 부문 신설한 BIFF, 30주년 맞아 규모 확대…328편 상영
작성자 정보
- 코난티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 조회
- 목록
본문
마르코 벨로키오·줄리엣 비노쉬 등 영화계 거장 한자리에

(부산=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 26일 오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을 앞두고 부산 영화의전당 시네마운틴에서 열린 개최 기자회견에서 정한석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광수 부산국제영화제 이사장, 정한석 집행위원장, 박가언 수석 프로그래머.
다음 달 17일부터 열흘 동안 열리는 영화제에서는 328편의 작품이 상영된다. 2025.8.26 [email protected]
(부산=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 다음 달 개막하는 부산국제영화제(BIFF)는 올해 30주년을 맞아 역대 가장 다채로운 작품 세계를 선보인다.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회는 26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어 올해 개막작과 초청 영화 편수, 영화제 기획 방향 등을 설명했다.
올해 상영 편수는 공식 초청작 241편으로 지난해에 비해 17편 늘어났는데 커뮤니티비프 상영작 등을 합하면 전체 상영 영화는 328편이다.
다음 달 17일 개막해 열흘간 열리며 관람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CGV 센텀시티 IMAX관, 동서대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등 상영관을 추가했다.
개막작은 박찬욱 감독의 '어쩔수가없다'를 선정했다.
해고된 직장인 만수(이병헌 분)가 재취업을 준비하며 가족을 지키기 위해 자신만의 전쟁에 나서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미국 작가 도널드 웨스트레이크가 쓴 소설 '액스'(THE AX)를 뼈대로 만들어졌다.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에는 이란의 자파르 파나히 감독이 선정됐으며, 한국영화공로상은 정지영 감독, 까멜리아상은 실비아 창 감독에게 돌아갔다.
영화제는 30주년을 맞아 올해 경쟁 부문을 신설하며 외연을 확장한다.
경쟁 부문에는 아시아 주요 작품 14편을 초청해 대상, 감독상, 심사위원 특별상, 배우상, 예술공헌상 등 5개 부문에서 '부산 어워드'를 시상한다.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박찬욱 감독이 19일 서울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영화 '어쩔수가없다' 제작보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8.19 [email protected]
특별기획 프로그램도 올해 30주년을 맞아 대거 늘었다.
생애 처음 아시아 지역 영화제를 찾는 이탈리아의 거장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 세계적인 배우 줄리엣 비노쉬의 작품 세계를 조명한다.
한국 신예 여성 감독과 국내외 영화·문화계 명사들의 추천작을 이야기하는 자리도 마련된다.
거장의 최신작을 만날 수 있는 아이콘 섹션의 작품도 지난해 17편에서 올해 33편으로 늘어 역대 가장 많이 초청됐다.
아시아 신인 작가를 발굴하고 독립영화를 육성하기 위해 추진된 비전 섹션은 아시아 전역으로 확장해 운영한다. 올해는 한국 12편, 아시아 11편이 선정됐다.

(부산=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회가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을 앞둔 26일 오전 부산 영화의전당 시네마운틴에서 개최 기자회견을 마무리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영덕 아시아콘텐츠&필름마켓, 박광수 부산국제영화제 이사장, 정한석 집행위원장, 박가언 수석 프로그래머.
다음 달 17일부터 열흘 동안 열리는 영화제에서는 328편의 작품이 상영된다. 2025.8.26 [email protected]
30회를 맞이한 이번 행사에서는 영화계 거장들이 잇따라 현장에 참석해 자리를 빛낸다.
감독으로는 지아장커, 두기봉, 차이밍량, 마르지예 메쉬키니, 이창동, 박찬욱을 비롯해 션 베이커, 마이클 만, 기예르모 델 토로 등이다.
일본의 와타나베 켄, 니시지마 히데토시, 오카다 준이치, 오구리 슌과 홍콩의 양가휘, 대만의 이강생, 서기, 계륜미, 허광한이 참석한다.
이 밖에도 영화제는 감독과 배우가 창작 경험을 관객과 나누는 마스터 클래스, 커뮤니티 비프, 동네방네 비프 등 운영을 확대한다.
폐막식은 기존과 달리 주요 영화인들이 시상자로 참석하며 수상작도 현장에서 공개된다.
정한석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은 "현재 한국 영화가 위기에 처해있는 것을 모두가 알고 있다"며 "기념비적이면서도 역대 최고, 최다를 기록하는 이번 영화제로 한국 영화의 위기 극복과 재도약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