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데헌' 한국 소재와 보편 주제로 성공…넷플릭스와 공생필요"
작성자 정보
- 코난티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04 조회
- 목록
본문
김태훈 칼럼니스트, 부산국제영화제 넷플릭스 인사이트 미디어 스터디서 분석

(부산=연합뉴스) 나확진 기자 = 19일 부산 동서대 센텀캠퍼스에서 열린 '2025 부산국제영화제 넷플릭스 인사이트 미디어 스터디 세션에서 김숙 컬쳐미디어랩 대표(왼쪽부터), 김태훈 팝 칼럼니스트, 고현주 넷플릭스 시니어 디렉터가 대담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부산=연합뉴스) 나확진 기자 =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한국적 취향 가득한 특수한 소재로 '정체성 찾기'라는 보편적 메시지를 담은 것이 성공의 한 이유라고 봅니다."
김태훈 팝칼럼니스트는 19일 부산 동서대 센텀캠퍼스에서 열린 '2025 부산국제영화제 넷플릭스 인사이트 미디어 스터디 세션'에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성공 원인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K의 경제학, K-콘텐츠의 발전과 한국의 문화 경제적 효과'를 주제로 열린 이날 세션에서 그는 이 밖에 넷플릭스의 유통망, 영화 '미녀삼총사' 식 구성에 '퇴마' 서사를 얹은 케데헌의 이중 구조, 음식·공간 등을 체험하게 만드는 '체험형 콘텐츠'라는 점도 성공 이유로 꼽았다.
김숙 컬쳐미디어랩 대표는 다양한 언어 더빙과 자막제공을 통해 영미나 동남아 등 일부 국가에 국한하지 않는 확장성을 성공 요인의 하나로 꼽았다. 이로 인해 그동안 장애로 콘텐츠 즐기기 어려운 시청자층까지 함께 누릴 수 있게 했다는 점도 부각했다.
두 사람은 케데헌이 한국 콘텐츠의 가이드 역할을 한다는 점도 주목했다.
과거 미국 시트콤 '프렌즈'를 보며 미국 문화를 배우듯 케데헌 등 콘텐츠를 넷플릭스를 통해 보며 외국 시청자들이 한국의 일상을 즐기는 문화적 대리현상이 벌어진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김태훈 칼럼니스트도 "미국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탄생하는 데 큰 역할을 한 2명으로 마이클 잭슨과 오프라 윈프리가 거론된다"며 "BTS(방탄소년단)와 케데헌의 성공은 아시아인에 대한 편견·차별 문제가 극적으로 사라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케데헌의 제작사가 한국 회사가 아닌 소니이고, 매기 강 감독의 국적이 캐나다인이라는 점을 들어 '케데헌'을 K-콘텐츠로 분류하는 데 주저하는 한편의 시선에 대해서는 '한국다움'에 대한 강조에서 벗어나 "이탈리아 요리사가 김치볶음밥을 만들고 프랑스 요리사가 김치찌개를 만들 듯 좀 더 즐겼으면 좋겠다"고 제언했다.
두 사람은 잇단 K-콘텐츠의 성공으로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한국 콘텐츠 제작이 다소 수월해진 면이 있다는 점에 공감했다.
또 넷플릭스 등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가 활성화하면서 회당 20분짜리 프로그램, 1화는 53분이고 2화는 40분인 경우와 같이 회당 길이가 차이 나는 프로그램 등 그동안 지상파와 같은 '레거시 미디어'에서 시도하기 어려웠던 포맷의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됐고 신진 창작자에게 기회가 생긴 것도 고무적으로 봤다.
이 지점에서 김태훈 칼럼니스트는 "레거시 미디어는 방송 규제가 바뀌지 않는 한 편성의 틀을 깨기가 어렵다"면서 "넷플릭스와 레거시 미디어의 창작의 자유를 비교하면 레거시 미디어는 한손이 묶여 있는 상황에서 권투 시합을 하는 것과 같다. 넷플릭스의 성공사례를 고민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넷플릭스와 한국의 협업에 있어서 "필요한 것은 공생"이라고 말했다.
이른바 '핫플레이스'로 각광받던 '가로수길'이 임대료 상승과 자영업자의 이탈로 비어가는 '젠트리피케이션'이 플랫폼에도 닥치지 말라는 법은 없다며 "생태계를 보존하는 최상의 방법을 찾고, 공생관계에서 협업지점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