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장·완주군수, 행정 통합 첫 TV토론서 격돌…견해 차 극명
작성자 정보
- 코난티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8 조회
- 목록
본문
우범기 시장 "주민 투표해야" vs 완주군수 "여론조사부터"

(전주=연합뉴스) 우범기 전북 전주시장(왼쪽)과 유희태 완주군수가 5일 오후 KBS전주방송총국 공개홀에서 열린 완주·전주 통합 관련 심층 토론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2025.8.5 [전주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주=연합뉴스) 김동철 기자 = 전북 전주시와 완주군의 행정구역 통합을 두고 우범기 전주시장과 유희태 완주군수가 5일 TV 토론에서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이날 두 단체장의 토론회는 통합 논의 이후 처음으로 이뤄졌다
두 기관장은 이날 오후 KBS 전주방송총국에서 열린 '완주·전주 상생의 길 단체장에게 묻다'를 주제로 47분간 열린 심층 토론에서 한 치의 양보도 없이 격돌했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토론 초반부터 완주군민의 지지를 바탕으로 한 공감대 형성을 부각하는 데 공을 들였다.
우 시장은 "갈등과 분열이 아니라 협력의 장으로 가야 한다"며 "주민투표는 참여민주주의의 근본인 만큼 주민투표를 해야 한다. 냉철한 가슴을 가지고 판단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유희태 완주군수는 "(완주군과 전주시의 통합이 무산된) 2013년 현장을 봤을 때 정치인들의 논리로 주민 갈등이 심해졌다"며 "행정안전부 결정 단계에 앞서 투명한 여론조사를 진행해 반대 여론이 높다면 구태여 주민투표를 할 필요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유 군수가 "전주시의 재정 문제가 있다"고 꼬집자 우 시장은 "재정적으로 어렵지 않다"고 맞받기도 했다.
유 군수는 "완주·전주 통합시 10년간 교부세가 2조1천억원가량이 줄어든다는 분석이 있다"며 6천억원대의 전주시의 지방채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자 우 시장은 "어떤 기준으로 분석했는지 모르지만 2조원이 줄어든다면 그만큼 도시가 성장해 지방세가 들어왔다는 방증일 수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부채에 대해선 "전주시가 6천억원의 빚이 있지만 이중 절반은 도시공원과 공원용지를 구입해 그대로 자산으로 남는다"며 "전주시 자산규모는 11조5천억원에 달하고 전국 기초지자체 중 11위 수준이다. 단기적으로 빚은 늘었으나 소비성이 아니라 자산이 됐다"고 강조했다.
유 군수는 협소한 전주시청사를 완주군이 아닌 전주시 효자동 전북자치도청사로 이전하자는 제안도 했다.
그는 "전주시청을 현재 도청으로 옮기고, 도청은 완주와 전주가 이어지는 만경강 부근으로 이전하자"고 이색 안건을 내놨다.
완주·전주 통합 찬성 단체들이 제안한 105개 상생 발전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어졌다.
우 시장은 "시청사 이전 등 105개 상생 발전 방안의 실행에 대해 믿을 수 있냐고 물어보는데, 국가가 법 제정을 통해 실행될 수 있고 전북자치도 역시 조례를 제정하는 등 그 조치가 충분히 뒷받침돼 있다"며 "단순한 약속이 아니다"고 단언했다.
우 시장은 토론 내내 '존중을 바탕으로 한 완주군민과의 공감대 형성'을, 유 군수는 '여론조사 후 반대 여론 우세 시 주민투표 불가'를 주장했다.
끝으로 우 시장은 "최종적으로 완주군민의 뜻이 존중돼야 한다"며 "거점도시를 만들어 아들·딸들이 앞으로 살아갈 수 있는 미래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유 군수는 "여론조사를 멋있게 하고 행안부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하자"면서 극명한 견해 차이를 드러냈다.
전주시와 완주군은 1997년, 2009년, 2013년에 행정구역 통합을 시도했으나 완주 주민의 반대로 모두 무산됐다.
두 지역은 원래 완산부, 전주부, 전주군, 전주읍 등으로 불린 한 고장이었으나 1935년 일제강점기에 전주부와 완주군으로 갈라진 이후 1949년 현재의 전주시와 완주군으로 굳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