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 3사, TV시청 데이터 분석 설루션 'TV 인덱스' 마련
작성자 정보
- 코난티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 조회
 - 목록
 
본문
KT·SKB·LG U+, 아이지에이웍스와 함께 1천800만 셋톱박스 데이터 분석
(왼쪽부터) 아이지에이웍스 데이터사업부문 이철환 대표, LG유플러스 엄상현 홈사업그룹 미디어제휴담당, SK브로드밴드 미디어사업본부 이창훈 콘텐츠전략담당, KT 최광철 미디어부문 IPTV 사업본부장, LG유플러스 박찬승 컨슈머부문 홈사업그룹장, 아이지에이웍스 마국성 대표. [아이지에이웍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나확진 기자 = KT·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 등 국내 IPTV(인터넷TV) 3사가 협력해 30년 넘게 유지돼 온 TV 시청률 조사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새로운 표준 마련에 나섰다고 데이터 테크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4일 밝혔다.
이들 IPTV 3사는 전국 1천800만 대 셋톱박스에서 발생하는 실제 시청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고주와 방송사가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분석 설루션 'TV 인덱스'를 아이지에이웍스와 함께 선보였다.
아이지에이웍스는 그동안 TV 시청률이 30년 넘게 전국 4천 가구 패널 조사 결과를 전체 시청으로 확대하는 방식으로 측정돼 시청자가 실제로 얼마나 보고 있는지 정확하게는 알 수 없었다며, TV 인덱스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 종래 단순 비율로만 표시되던 시청률 대신 실제 시청자 수와 시청 시간을 함께 제공한다고 전했다.
이전에는 '시청률 1.5%'라는 숫자만 확인할 수 있었다면, TV 인덱스에서는 '55만명이 하루 평균 1.1시간 시청했다'처럼 규모와 몰입도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아이지에이웍스는 IPTV 3사가 제공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셋톱박스 시청 데이터를 통합하고 AI(인공지능)로 분석해 방송사·광고주·중소 채널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지표 체계를 구축했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방송사는 채널과 프로그램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해 광고 단가 협상이나 편성 전략에 활용할 수 있고, 그동안 데이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던 중소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나 비인기 채널 역시 구체적인 수치를 근거로 광고주를 설득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개인정보 침해와 관련해서는 TV인덱스는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TV 인덱스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공개 버전은 채널 단위 성과와 시청 패턴을 보여주며, 앞으로는 프로그램·광고·성별·연령대 등 세분된 시청자 그룹 단위까지 확장돼 TV 시청도 디지털처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마국성 아이지에이웍스 마국성 대표는 "IPTV 3사가 공동 표준을 마련하고 아이지에이웍스와 전략적 데이터 파트너십을 구축해, 업계가 실제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완성했다"며 "기관마다 달라 혼란을 키웠던 기존 시청률 대신, 업계가 함께 신뢰할 수 있는 새로운 표준이 자리 잡으면서, TV 광고 시장이 다시 성장할 발판을 마련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