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김원형 전 SSG 감독 선임…"우승 전력 구축 적임자"(종합2보)
작성자 정보
- 코난티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 조회
- 목록
본문
2시즌 동안 야인 생활 하다가 1군 사령탑 복귀
김원형 감독 "허슬두 문화 재건에 앞장서겠다"
(서울=연합뉴스) 하남직 기자 = 프로야구 두산 베어스가 김원형(53) 전 SSG 랜더스 감독을 12대 사령탑으로 선임했다.
두산은 20일 "김원형 감독과 2+1년 최대 20억원(계약금 5억원, 연봉 5억원)에 계약했다"고 밝혔다.
2023년 11월 SSG를 떠났던 김 감독은 2년 만에 1군 지휘봉을 다시 잡았다.
두산은 올해 6월 2일 이승엽 전 감독과 결별하고 남은 정규시즌 86경기를 조성환 감독대행 체제로 치렀다.
9위로 정규시즌을 마쳐 가을 무대에 서지 못한 두산은 신중하게 신임 감독 영입 절차를 밟았고, 통합우승 경험이 있는 김원형 감독에게 새 지휘봉을 맡겼다.
두산 구단은 "김원형 감독은 KBO 최초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 경력을 갖췄다. 투수 육성과 운영에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았다"며 "젊은 선수들의 건강한 경쟁을 통해 우승 도전 전력을 구축하는 데 적임자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김원형 감독은 "명문 구단 두산의 지휘봉을 잡게 돼 무한한 영광이며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 기회를 주신 구단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두산은 그라운드 위에서 언제나 역동적인 모습을 바탕으로 상대를 압박해온 팀이었다. 이러한 '허슬두' 문화를 재건하는 데 앞장서며 팬 여러분께 감동을 드리겠다"고 밝혔다.
김원형 감독은 2020년 11월 SK 와이번스 8대 사령탑으로 선임됐다. 계약 조건은 2년 총 7억원이었다.
이후 SSG가 SK를 인수하면서 김원형 전 감독은 'SSG 초대 사령탑'이 됐다.
첫 시즌(2021년)에는 6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했지만, 2022년에는 정규시즌 개막전부터 종료일까지 1위 자리를 지키는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을 달성하고, 한국시리즈에서도 승리해 '통합우승'을 완성했다.
SSG는 2022년 11월 한국시리즈 중에 "김원형 감독과 재계약하겠다"고 힘을 실어줬고, 시즌 종료 뒤 3년 총 22억원에 재계약을 완료했다.
2023년 SSG는 정규시즌을 3위로 마쳤고, 준플레이오프에서 NC 다이노스에 1∼3차전을 내리 패하며 가을 무대에서 퇴장했다.
SSG는 그해 11월, 계약 기간 2년을 남긴 상황에서 김원형 감독을 경질했다.
이후 김원형 감독은 일본프로야구 소프트뱅크 호크스 구단에서 코치 연수를 하고, 미국 워싱턴주 켄트에 있는 드라이브 라인 센터에서 '투수 지도자 단기 연수'를 받으며 시야를 넓혔다.
김 감독은 올해 3월 2026년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한국 야구대표팀 투수 코치로 선임돼 류지현 대표팀 감독과 자주 야구장을 찾고 KBO리그 경기를 근거리에서 지켜봤다.
두산은 1군 감독 경험이 있고, 야인으로 국내외에서 야구에 대한 고민을 이어간 김원형 감독을 팀의 변화를 주도할 적임자로 봤다.
두산은 2003년 10월에 부임한 7대 사령탑 김경문(현 한화 이글스) 감독을 시작으로 11대 이승엽 전 감독까지 '감독 경험이 없는 지도자'에게 지휘봉을 맡겼다.
김경문 한화 감독, 김진욱 전 감독, 송일수 전 감독, 김태형 현 롯데 자이언츠 감독, 이승엽 전 감독은 모두 두산에서 '1군 감독 데뷔'를 했다.
하지만, 12대 사령탑으로는 '경력직'을 택했다.
김원형 감독은 쌍방울 레이더스와 SK에서 통산 545경기에 등판해 134승 144패, 26세이브, 12홀드, 평균자책점 3.92를 올린 '명투수' 출신이다.
2019, 2020시즌에는 두산 투수코치로 일해 팀 분위기를 잘 안다.
김원형 감독은 선수단 전체를 이끄는 1군 수장으로 올라서며, 2020년 11월 이후 5년 만에 두산으로 돌아왔다.